신생아 황달
신생아 황달은 신생아기에 혈중 빌리루빈의 증가로 황달을 나타내는 질환을 총칭하며, 생후 첫 주 내 만삭아의 약 60%, 미숙아의 약 80%에서 관찰됩니다.
정상적인 황달이 아닌 진료가 필요한 병적 황달은?
아기의 피부가 노랗게 보이는 증상으로, 생후 2-3일째 발견되고 1주일 안에 없어집니다. 신생아 황달은 신생아기에 혈중 빌리루빈의 증가로 황달을 나타내는 질환을 총칭하며, 생후 첫 주 내 만삭아의 약 60%, 미숙아의 약 80%에서 관찰됩니다. 대부분 큰 문제 없이 좋아지지만 심한 황달을 치료하지 않는 경우 신경계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 생후 첫날에 황달이 발견되었을 때
-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12mg/dL 이상으로 높을 때
- 생후 2주이상 황달이 지속될 때
- 직접 빌리루빈이 2mg/dL 이상인 경우
원인
황달을 일으키는 물질은 혈중 빌리루빈이라는 물질로 이는 대부분 적혈구가 파괴되어서 만들어 집니다. 생성된 빌리루빈은 간에서 대사되어 담즙으로 배설되게 됩니다. 그래서 파괴되는 적혈구가 많을 때 혹은 생성된 빌리루빈이 미숙한 간에서 처리되지 못하였을 때에 황달이 생기게 됩니다.
병적 황달의 원인
아기의 피부가 노랗게 보이는 증상으로, 생후 2-3일째 발견되고 1주일 안에 없어집니다. 신생아 황달은 신생아기에 혈중 빌리루빈의 증가로 황달을 나타내는 질환을 총칭하며, 생후 첫 주 내 만삭아의 약 60%, 미숙아의 약 80%에서 관찰됩니다. 대부분 큰 문제 없이 좋아지지만 심한 황달을 치료하지 않는 경우 신경계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 용혈성 질환, 감염, 선천성 대사질환, 간 담도계 이상
- 진단은 혈액검사, 용혈에 의한 원인 검사, 간 기능 검사
- 아기의 피부가 노랗게 보이는 경우에 병적 황달의 기준에 속하게 되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 병원에서는 혈액검사를 통하여 황달의 원인을 찾게 되는데, 보통 ①직,간접 빌리루빈 수치, ②혈액형 검사, ③일반 혈액검사, ④용혈에 의한 원인 검사(Coombs 검사) 및 간 기능 검사 등을 하게 됩니다. 황달이 시작된 시기, 전신 상태, 수유량, 체중 증감 상태, 모유 수유 여부, 빌리루빈 수치 및 혈액형 등의 병력이나 진찰 소견, 검사 소견을 종합하여 진단합니다.
치료는 원인에 따라 광선치료, 교환수혈, 모유중단 및 수술적 치료 적용
대부분의 생리적 황달은 치료가 필요 없으나, 병적인 원인의 황달이 진단되었을 경우에는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시작하여야 합니다. 보통 혈중 빌리루빈 농도를 20 mg/dL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게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를 위하여 황달이 위험 수준에 도달한 경우에는 병원에 입원하여 광선치료 혹은 교환수혈을 하게 됩니다. 광선치료는 빌리루빈이 많이 흡수하는 파장의 광선을 쬐어서 빌리루빈의 변형을 가져와 간의 대사를 거치지 않고 위장관과 콩팥으로 배설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모유 황달 등과 같은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2-3일간 모유를 중단한 후 황달의 변화를 관찰하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요즘에는 용혈성 원인이 아닌 경우에는 25 mg/dL까지는 안전하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담도 폐쇄로 진단이 되었을 때에는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수술적 치료가, 간염으로 진단되었을 경우에는 내과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영아 산통
생후 4개월 이하 영아가 갑자기 많이 오랫동안 우는 이유 중에 '영아 산통'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모든 아기들의 ⅓은 이 '영아 산통'을 경험하며, 생후 3~4개월 지나면 대개 사라집니다.
영아 산통이란?
하루 중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지만, 주로 저녁이나 새벽에 이유 없이 발작적으로 울고 보채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아기는 인상을 쓰고 복부 팽만이 있고, 양손을 움켜쥐고 배에 잔뜩 힘을 주며 다리를 배 쪽으로 구부리고 있어 심한 통증이 있는 모습을 나타납니다. 하루 3시간, 최소 한 주 동안 3회 이상 발생할 때 영아산통이라고 진단합니다.
영아산통의 원인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소화기능이 미숙해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분유를 소화시키지 못하는 영아에게 발생하는 복부 팽만감과 통증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짐작하고 있습니다. 수유 중에 공기를 많이 삼키거나 배에 가스가 많이 찼을 때 나타납니다.
영아산통의 치료
- 아기가 심하게 울고 보채는 것이 영아산통 이 외에도 여러 가지 원인(장이 막혔을 때나 복막에 염증이 있을 때)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소아과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영아산통이라고 진단하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 주위를 조용하고 자극적이지 않게 한 다음 푹신하게 포대기나 담요로 싸주고, 아기의 앞가슴과 어깨를 대고 안아주거나 아기의 무릎을 굽힌 상태로 안고 그네 태우듯이 천천히 살살 흔들어 줍니다. 노리개 젖꼭지를 빨려주거나, 따뜻한 손으로 배를 살살 쓸어 줍니다.
- 아이가 우유병으로 먹는 중이라면 다른 방법으로 시도해 봅니다. 젖꼭지의 구멍의 크기도 적당한지 조절해 보시고, 다른 모양의 젖꼭지를 사용하거나, 구부러진 병 또는 다른 종류의 우유병으로 수유를 해 아이에게 맞는 젖병을 찾아 먹이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