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이야기
바이러스가 원인인 소아감기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가 감기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감기를 앓는 동안 세균이 코, 중이, 부비동, 폐 등에 침입하면
세균성 비염, 중이염, 부비동염, 폐렴 등의 세균성 합병증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감기에 더 잘 걸리는 조건은?
- 기관지천식, 습진 등 알레르기 질환을 가진 아이들
- 추운 계절에 얇게 옷을 입거나, 습기 찬 곳에 오랫동안 있을 때, 비를 맞은 후
- 쇠약하거나 영양 상태가 나쁜 아이들
치료는 증상에 따라 대처
아이의 병력, 증상, 진찰소견을 종합하면 비교적 쉽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독감을 비롯한 다른 바이러스성 질환이나 A군 연구균성 인두염, 편도염 등은 감별 진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여러 가지 검사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아직까지 감기를 완벽하게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특효약은 없습니다. 또한 항생제도 감기 자체의 치료에는 아무런 효력이 없으며, 남용하면 오히려 해로울 수 있습니다. 감기를 앓을 때는 나타나는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를 하며, 육체적 과로를 피하고 정신적 안정을 취하게 해야 합니다. 과일즙, 보리차, 고기국물 등 유동 음식이나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조금씩 자주 먹이다가 식욕이 좋아질 때 보통 때 먹던 음식으로 서서히 바꿔 주어야 합니다. 특히 수분을 충분히 주어서 탈수를 방지해 주어야 합니다. 실내가 건조하면 아이의 호흡이 힘들어 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실내 습도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세균성 합병증에 유의
아이가 감기를 앓을 때는 언제나 세균성 합병증에 걸릴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따라서 감기에 걸렸는지 또 다른 질병인지 확실히 몰라서 걱정이 되거나, 감기가 오래 지속될 때, 갑자기 고열이 나면서 심하게 보챌 때는 의사에게 곧 데리고 가서 진단과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