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이야기
신생아 황달
신생아 황달은 신생아기에 혈중 빌리루빈의 증가로 황달을 나타내는 질환을 총칭하며, 생후 첫 주 내 만삭아의 약 60%, 미숙아의 약 80%에서 관찰됩니다.
정상적인 황달이 아닌 진료가 필요한 병적 황달은?
아기의 피부가 노랗게 보이는 증상으로, 생후 2-3일째 발견되고 1주일 안에 없어집니다. 신생아 황달은 신생아기에 혈중 빌리루빈의 증가로 황달을 나타내는 질환을 총칭하며, 생후 첫 주 내 만삭아의 약 60%, 미숙아의 약 80%에서 관찰됩니다. 대부분 큰 문제 없이 좋아지지만 심한 황달을 치료하지 않는 경우 신경계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 생후 첫날에 황달이 발견되었을 때
-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12mg/dL 이상으로 높을 때
- 생후 2주이상 황달이 지속될 때
- 직접 빌리루빈이 2mg/dL 이상인 경우
원인
황달을 일으키는 물질은 혈중 빌리루빈이라는 물질로 이는 대부분 적혈구가 파괴되어서 만들어 집니다. 생성된 빌리루빈은 간에서 대사되어 담즙으로 배설되게 됩니다. 그래서 파괴되는 적혈구가 많을 때 혹은 생성된 빌리루빈이 미숙한 간에서 처리되지 못하였을 때에 황달이 생기게 됩니다.
병적 황달의 원인
아기의 피부가 노랗게 보이는 증상으로, 생후 2-3일째 발견되고 1주일 안에 없어집니다. 신생아 황달은 신생아기에 혈중 빌리루빈의 증가로 황달을 나타내는 질환을 총칭하며, 생후 첫 주 내 만삭아의 약 60%, 미숙아의 약 80%에서 관찰됩니다. 대부분 큰 문제 없이 좋아지지만 심한 황달을 치료하지 않는 경우 신경계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 용혈성 질환, 감염, 선천성 대사질환, 간 담도계 이상
- 진단은 혈액검사, 용혈에 의한 원인 검사, 간 기능 검사
- 아기의 피부가 노랗게 보이는 경우에 병적 황달의 기준에 속하게 되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 병원에서는 혈액검사를 통하여 황달의 원인을 찾게 되는데, 보통 ①직,간접 빌리루빈 수치, ②혈액형 검사, ③일반 혈액검사, ④용혈에 의한 원인 검사(Coombs 검사) 및 간 기능 검사 등을 하게 됩니다. 황달이 시작된 시기, 전신 상태, 수유량, 체중 증감 상태, 모유 수유 여부, 빌리루빈 수치 및 혈액형 등의 병력이나 진찰 소견, 검사 소견을 종합하여 진단합니다.
치료는 원인에 따라 광선치료, 교환수혈, 모유중단 및 수술적 치료 적용
대부분의 생리적 황달은 치료가 필요 없으나, 병적인 원인의 황달이 진단되었을 경우에는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시작하여야 합니다. 보통 혈중 빌리루빈 농도를 20 mg/dL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게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를 위하여 황달이 위험 수준에 도달한 경우에는 병원에 입원하여 광선치료 혹은 교환수혈을 하게 됩니다. 광선치료는 빌리루빈이 많이 흡수하는 파장의 광선을 쬐어서 빌리루빈의 변형을 가져와 간의 대사를 거치지 않고 위장관과 콩팥으로 배설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모유 황달 등과 같은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2-3일간 모유를 중단한 후 황달의 변화를 관찰하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요즘에는 용혈성 원인이 아닌 경우에는 25 mg/dL까지는 안전하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담도 폐쇄로 진단이 되었을 때에는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수술적 치료가, 간염으로 진단되었을 경우에는 내과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