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과 출산 이야기

건강한 산욕기(산후관리)
산후 몸조리를 해줄 수 있는 가족이나 친지의 도움을 한 달 이상 받는 것이 좋습니다.
몸조리 기간 중에 가장 두드러지게 일어나는 신체의 변화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산 후에 나타나는 증상

오로

분만 후 피가 섞인 분비물이 나오는 현상으로 분만 후 자궁이 수축하면서 나오는 질과 자궁경관의 분비물입니다. 1~2일 간은 혈액이 많이 섞여서 나오다가 점점 시간이 지나면 갈색이 되었다가 노랗게 변하면서 점점 없어집니다.

후진통(훗배)

출산 후 자궁이 수축되느라고 복통이 올 수 있는데, 시간이 지나면 차츰 없어집니다.

젖몸살

대개 출산 후 3일째부터 젖이 돌기 시작하는데 이때 잘 풀어 주어야 합니다. 유방을 찜질한 후 단단하게 뭉쳐 있는 곳을 손으로 잘 비벼서 풀어주고 고여 있는 젖을 짜내야 합니다.

산후 염증

아기를 낳은 지 2일째부터 열이 38도 이상 올라가면 출산 후 염증이 생긴 것으로 간주하게 됩니다. 주로 비뇨기계 염증, 자궁 부위 염증, 회음 절개부위 및 수술 부위 염증 등의 원인으로 보고 있으므로 정확한 원인을 찾아 반드시 치료해 주어야 합니다.

산후 우울증

분만 후 허탈감, 통증, 피로감 및 출산 후 남편의 태도변화에 대한 두려움으로 가끔 우울증에 빠질 수가 있습니다. 이에 대한 치료방법은 가족들의 따뜻한 애정과 보살핌입니다.

월경의 회복

모유를 먹이지 않는 산모는 분만 후 7-9주 이후에 월경이 시작됩니다. 모유를 먹이는 산모는 일반적 36개월 이내에 월경이 시작됩니다. 월경이 있기 전에도 이 기간 중에 부부관계를 가질 경우 임신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산후 관리를 어떻게 할까?

분류 관리법
회음 관리 따뜻한 물로 좌욕을 합니다.
늘어난 배 복대는 별효과가 없습니다. 오히려 적당한 운동으로 늘어난 배를 회복시키며 필요하다면 거들을 착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소변보기 방광이 아기 머리에 의해 장시간 눌려있어서 분만 후 소변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아랫배를 살며시 누르면서 힘을 약간 주면 소변보기가 한결 용이해 집니다.
대변보기 분만 전에 관장을 하므로 분만 후에 곧바로 변을 볼 필요는 없지만 출산 3일 후에도 변을 보지 못하는 경우 변비약을 복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적당한 운동과 야채 섭취로 변비를 고쳐나가도록 합니다.
젖꼭지 관리 젖을 물리기 전에 순한 비누로 닦아주고 양쪽 젖을 번갈아 가면 먹이도록 합니다.
몸조리 몸의 관절이 약해져 있는 상태이니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잘 보호해 주어야 합니다. 특히 한달 동안 잘 조리해야 나중에 허리, 무릎 등 관절부위가 아프지 않습니다.
체중관리 분만 후 체중은 5~6kg정도 밖에 줄지 않고 5~6주일 지나야 임신 전 체중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적당한 운동을 6주 동안 규칙적으로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산후 검진

출산 4-6주 후 정기 검진을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일반 건강을 체크 한 뒤 혈압과 체중을 체크하며 소변검사를 합니다. 다음에는 내진을 통해 자궁이 임신 전 크기로 회복되었는지 여부와 양쪽 난소의 정상 유무 회음부 절개 부위의 정상 여부 검사하게 됩니다.